아프리카의 HIV/AID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리카의 HIV/AIDS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널리 퍼진 심각한 문제로, 1960년대에 처음 발생하여 1980년대에 전 세계적인 유행병으로 번졌다. HIV는 주로 성적 체액 교환, 혈액, 모체에서 자녀로의 전염을 통해 확산되며, 면역 체계를 손상시켜 AIDS로 이어진다. 아프리카는 HIV/AIDS 발생률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역사를 거쳐 도시화, 빈곤, 고위험 행동 패턴 등 다양한 요인이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 국제 사회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예방 교육, 낙인 감소 노력 등 다양한 대응을 해왔으며, 그 결과 사망자 수와 신규 감염자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지역별로 유병률과 대응에 차이가 있으며, 결핵과 HIV의 동시 감염 또한 심각한 문제로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HIV/AIDS - 베냉의 HIV/AIDS
베냉의 HIV/AIDS는 베냉 내 HIV 현황, 유병률, 감염 경로, 취약 계층, 국가적 대응 및 사회 경제적 문제를 다루며, 이성 간 성교와 모태 수직 감염을 통해 주로 전파되고, 젊은 성인과 취약 계층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정부는 퇴치를 위해 노력하지만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 아프리카의 HIV/AIDS - 에티오피아의 HIV/AIDS
에티오피아의 HIV/AIDS는 젊은 여성의 취약성, 이성 간 성적 접촉의 주요 감염 경로, 도시 지역의 높은 감염률, 정부의 예방 노력과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제공에도 불구하고 자원 부족, 낙인, 사회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에티오피아 내 HIV 감염 현황을 다룹니다.
아프리카의 HIV/AIDS | |
---|---|
개요 | |
질병 | 에이즈 |
원인 | HIV |
위치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사망자 수 (2011년) | 120만 명 |
감염자 수 (2011년) | 2350만 명 |
성인 감염률 (2011년) | 4.9% |
역학 | |
주요 감염 지역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전 세계 HIV 감염자 비율 | 68% (2023년) |
아프리카 인구 비율 | 전 세계 인구의 14% |
새로운 HIV 감염 감소율 | 2010년 이후 51% 감소 (동부 및 남부 아프리카) |
HIV 관련 사망 감소율 | 2010년 이후 57% 감소 (동부 및 남부 아프리카) |
원인 및 영향 | |
주요 원인 | 성적 행동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
사회경제적 영향 | 기대 수명 감소 노동 생산성 감소 의료 시스템 부담 증가 고아 및 취약 아동 증가 |
예방 및 치료 | |
예방 전략 | 안전한 성관계 장려 HIV 검사 확대 모자간 감염 예방 남성 포경 수술 교육 프로그램 |
치료 방법 |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ART) |
치료 접근성 확대 | 2023년 기준, 2,060만 명이 ART 치료를 받음 |
국제적 노력 | |
주요 기관 | UNAIDS WHO PEPFAR |
목표 | 2030년까지 에이즈 종식 |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 SDG 3 (건강과 웰빙) |
통계 (최신) | |
새로운 HIV 감염 (2022년) | 130만 명 |
에이즈 관련 사망 (2022년) | 630,000명 |
HIV 감염 생존자 수 | 3,900만 명 |
2. 역사
HIV가 인간에게 처음 감염된 것은 적도아프리카 서부 카메룬 동북부 중앙침팬지로 추정된다. HIV는 인간이 침팬지를 사냥하여 도살하는 과정에서 옮겨간 것으로 추정된다.[120][121]
20세기 아프리카에서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시골에 고립되었던 바이러스가 도시에서 빠르게 전파되기 시작했다. 아프리카에서 에이즈가 빠르게 확산된 데에는 여러 가설이 있는데, 가장 일반적인 설명은 빈곤이다. 아프리카의 빈곤은 매춘과 같은 행위를 유발하고, 열악한 생활 환경, 교육, 건강 및 보건에 영향을 미쳐 HIV/AIDS 확산에 큰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124]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많은 정부들이 수년 동안 문제의 존재를 부인했지만, 현재는 해결책을 모색하기 시작했다.[24]
최근 HIV와 AIDS에 대한 세계적인 대응은 상당히 개선되었다. 글로벌 펀드와 대통령 에이즈 구호 계획 등 다양한 출처에서 자금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26]
2011년 아프리카 전체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AIDS 관련 사망자 수는 2005년보다 32% 감소했다.[27][13] 2011년 아프리카의 HIV 신규 감염자 수도 2001년보다 33% 감소했으며,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어린이의 신규 감염은 24% 감소했다.[27] 유엔 에이즈 계획(UNAIDS)은 이러한 성공이 "아프리카와 국제 사회의 강력한 리더십과 공동 책임"의 결과라고 평가한다.[28]
2. 1. 아프리카의 HIV/AIDS 기원
HIV 감염은 적도아프리카 서부 카메룬 남동부의 중앙침팬지에게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진화학적 연구에 따르면 HIV-1의 M, N, O형 등 인간 감염 HIV 변이형은 중앙침팬지(P. t. troglodytes)에서 발견되는 SIVcpz 계통 바이러스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HIV는 인간이 침팬지를 사냥하여 도살하는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옮겨간 것으로 추정된다.[120][121]다른 가설로는 침팬지나 다른 유인원의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옮겨진 후, 20세기 의료 행위가 1930년대까지 HIV가 인간에게 정착하도록 도왔다는 설이 있다.[122] 이 바이러스는 사냥꾼이 감염된 영장류의 혈액과 접촉하면서 전파되었고, 이후 감염된 사냥꾼들이 오염된 체액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병을 옮겼다고 본다. 이를 "부시미트 이론"(Bushmeat theory)이라고 한다.[123]
여러 연구자들은 HIV 바이러스가 강을 따라 이동하며 확산되었다고 주장한다. 카메룬의 강들은 상가강을 거쳐 콩고 민주 공화국 수도 킨샤샤에서 콩고강과 합류한다. 강을 따라 무역이 이루어지면서 바이러스가 천천히 전파되었고, 인구 증가에 따라 확산 속도도 빨라졌다. 1959년에서 1960년 사이 킨샤샤에서 수집, 보존된 조직 샘플 재검사[125] 결과 등을 통해 1960년대까지 아프리카에서 약 2천 명이 HIV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121] 1970년대 킨샤샤에서 크립토콕쿠스증, 카포시육종, 결핵, 폐렴 등 기회 감염 사례가 급증하면서 HIV/AIDS의 첫 유행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126][127]
2. 2. 세계적 확산과 인식
HIV는 1960년대 아프리카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그 후 10년 동안 미국과 유럽으로 확산되었다. 1980년대에는 전 세계로 퍼져 대유행이 되었다.[23] AIDS는 1981년 미국과 프랑스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주로 남성 동성애자들 사이에서 발생했다. 이후 1982년과 1983년에는 이성애자 아프리카인들도 진단을 받았다.[23]1980년대 후반, 국제 개발 기구들은 AIDS 관리를 경제 및 사회 생활의 모든 영역과 관련된 문제가 아닌 기술적인 의료 문제로 간주했다. 공중 보건 당국은 AIDS를 매춘과 관련된 도시 현상으로 인식했기 때문에, "전통적인"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아프리카인들은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다. 그들은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가 주된 감염 경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하고, 여러 성 파트너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성 노동자 및 트럭 운전사와 같은 핵심 전파자들에게 콘돔 사용을 설득하는 데 예방 노력을 집중하면 이성애자 유행을 억제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여러 국가에서 10년 이상 예방 캠페인이 어려움을 겪었다.[23]
AIDS는 처음에는 남성 동성애자와 약물 중독자들의 질병으로 여겨졌지만, 아프리카에서는 일반 인구 사이에서 확산되었다. 그 결과, HIV와의 싸움에 참여한 사람들은 안전하지 않은 성행위나 약물 주사를 통한 전파를 막는 것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보다는 모자간 전파 방지, HIV와 빈곤, 성 불평등 등의 관계를 강조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강조점의 변화는 더 많은 자금 지원을 가져왔지만, HIV 발병률의 급격한 증가를 막는 데는 효과적이지 않았다.[25]
HIV와 AIDS에 대한 세계적인 대응은 최근 몇 년 동안 상당히 개선되었다. 자금 지원은 글로벌 펀드와 대통령 에이즈 구호 계획 등 다양한 출처에서 이루어진다.[26]
유엔 에이즈 계획(UNAIDS)에 따르면, 아프리카에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받는 HIV 양성 환자 수는 2005년에서 2012년 사이에 100만 명에서 710만 명으로 증가하여 805% 증가했다. 2012년에는 약 100만 명의 환자가 치료를 받았다.[27]
2. 3. 국제사회의 대응과 노력
1980년대 후반부터 국제 개발 기구들이 AIDS 관리를 시작하였으나, 초기에는 기술적인 의료 문제로만 접근하여 한계를 보였다.[12] 2000년대 이후 글로벌 펀드, 미국 대통령 에이즈 구호 계획 등 국제적인 지원이 확대되고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접근성이 개선되었다.[12] 그러나 여전히 치료가 필요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새로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캠페인은 많은 지역에서 부족하다.[12]3. 원인과 확산 요인
HIV가 인간에게 감염되기 시작한 것은 적도아프리카 서부 카메룬 동북부 중앙침팬지에게서 옮겨온 것으로 추정된다. HIV-1 아종의 변이형은 중앙침팬지의 SIV cpz 계통 바이러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침팬지 사냥 과정에서 인간에게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120][121] 이를 "부시미트 이론"(Bushmeat theory)이라고 부른다.[123]
20세기 아프리카의 급격한 도시화는 시골에 고립되었던 바이러스를 도시로 빠르게 확산시켰다. 아프리카에 에이즈가 빠르게 퍼진 데에는 빈곤이 큰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매춘과 같은 행위를 불러오고 열악한 생활 환경, 교육 및 보건에 영향을 끼쳐 HIV/AIDS 확산에 기여했다.[124]
여러 연구에 따르면 HIV 바이러스는 강을 따라 무역을 하면서 천천히 전파되었다. 1960년대까지 아프리카에서 2천 명이 HIV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며,[121] 1970년대 킨샤샤에서 크립토콕쿠스증, 카포시육종, 결핵, 폐렴 같은 기회 감염의 급증으로 첫 유행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126][127]
자선 단체 AVERT의 2019년 연구 논문 "아프리카의 HIV/AIDS의 영향"에 따르면, HIV는 아프리카 대륙에 질병과 사망뿐 아니라 가구, 학교, 직장, 경제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HIV 관련 질병을 앓는 사람들이 전체 병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의료 인력의 17%가 에이즈로 사망(보츠와나, 1999-2005년)하는 등 의료 체계에 큰 타격을 주었다. 또한 에이즈는 가족의 소득원을 빼앗고, 농가 질병으로 농업을 중단시키며, 여성과 노인에게 간병 부담을 가중시키고, 많은 아이들을 고아로 만드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심각한 피해를 야기했다.
3. 1. 생물학적 요인
HIV는 여러 아형으로 나뉘는데, 그중 A형과 C형이 아프리카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다. 특히 C형은 전 세계 HIV 감염의 약 50%를 차지할 정도로 두드러진다.[68][69] 그러나 HIV 연구의 대부분은 주로 유럽에서 발생하는 B형(전체 감염의 12%)에 초점을 맞춰왔기 때문에,[70] C형이 다른 아형에 비해 바이러스 전염을 증가시키는 요소를 진화시켰는지 여부는 아직 불분명하다.[70]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HIV/AIDS 유행이 특히 치명적인 이유는 HIV와 결핵 간의 시너지 효과 때문이다.[102] 두 질병은 HIV 유행이 시작된 이래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103] 동시 감염은 진단 및 치료에 어려움을 야기하고 의료 시스템에 큰 부담을 준다.[104] HIV 감염자의 약 90%가 결핵에 걸린 후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수개월 내에 사망한다.[102]
2011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약 874,000명이 HIV와 결핵에 동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며,[13]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330,000명), 모잠비크(83,000명), 나이지리아(50,000명) 등에서 많은 사례가 발생했다.[106] 인구 10만 명당 동시 감염률은 에스와티니가 1,010명(약 1%)으로 가장 높았다.[106] 2000년부터 2011년까지 알제리, 앙골라, 차드 등 20개 아프리카 국가에서 인구 10만 명당 동시 감염률이 20%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2004년 이후 HIV 감염자 중 결핵 관련 사망자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28% 감소했다.[13]
다음은 2000년에서 2011년 사이 아프리카 국가별 HIV/결핵 동시 감염 현황을 나타낸 표이다.
국가 | 2011년 HIV/결핵 동시 감염 (인구 10만 명당 사례)[106] | 2011년 HIV/결핵 동시 감염 (사례)[106] | 2000년 HIV/결핵 동시 감염 (인구 10만 명당 사례)[106] | 2000년 HIV/결핵 동시 감염 (사례)[106] |
---|---|---|---|---|
북아프리카 | ||||
알제리 | 1 | 360 | 0.3 | 100 |
이집트 | <0.1 | 43 | <0.1 | 56 |
리비아 | 3.4 | 220 | align="right" | | align="right" | |
모로코 | 0.9 | 300 | 0.4 | 110 |
수단 | 8.2 | 2,800 | 9.3 | 3,200 |
튀니지 | 0.6 | 66 | 0.6 | 53 |
아프리카의 뿔 | ||||
지부티 | 63 | 570 | 86 | 730 |
에리트레아 | 8.2 | 440 | 20 | 750 |
에티오피아 | 45 | 38,000 | 141 | 93,000 |
소말리아 | 22 | 2,100 | 27 | 2,000 |
중앙 아프리카 | ||||
앙골라 | 43 | 8,500 | 44 | 6,100 |
카메룬 | 93 | 19,000 | 130 | 20,000 |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 159 | 7,100 | 591 | 22,000 |
차드 | 45 | 5,200 | 51 | 4,200 |
콩고 | 119 | 4,900 | 126 | 3,900 |
콩고 민주 공화국 | 49 | 34,000 | 57 | 28,000 |
적도 기니 | 52 | 370 | 47 | 250 |
가봉 | 185 | 2,800 | 203 | 2,500 |
상투메 프린시페 | 9 | 15 | 9.7 | 14 |
동아프리카 | ||||
부룬디 | 30 | 2,600 | 121 | 7,700 |
코모로 | 1.4 | 11 | 0 | <10 |
케냐 | 113 | 47,000 | 149 | 47,000 |
마다가스카르 | 0.6 | 130 | 0.8 | 120 |
모리셔스 | 1.6 | 21 | 1.1 | 13 |
마요트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레위니옹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르완다 | 27 | 2,900 | 141 | 11,000 |
세이셸 | 5.8 | <10 | align="right" | | align="right" | |
남수단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align="right" | |
탄자니아 | 65 | 30,000 | 106 | 36,000 |
우간다 | 102 | 35,000 | 244 | 59,000 |
서아프리카 | ||||
베냉 | 12 | 1,100 | 20 | 1,300 |
부르키나파소 | 9.5 | 1,600 | 22 | 2,700 |
카보베르데 | 19 | 97 | 19 | 84 |
코트디부아르 | 50 | 10,000 | 155 | 26,000 |
감비아 | 45 | 800 | 18 | 230 |
가나 | 18 | 4,600 | 47 | 9,000 |
기니 | 47 | 4,800 | 58 | 4,900 |
기니비사우 | 99 | 1,500 | 25 | 310 |
라이베리아 | 31 | 1,300 | 33 | 940 |
말리 | 9.4 | 1,500 | 16 | 1,800 |
모리타니 | 43 | 1,500 | 21 | 550 |
니제르 | 11 | 1,700 | 18 | 2,000 |
나이지리아 | 30 | 50,000 | 42 | 52,000 |
세네갈 | 14 | 1,700 | 7.9 | 750 |
시에라리온 | 64 | 3,800 | 20 | 810 |
토고 | 16 | 1,000 | 18 | 840 |
남아프리카 | ||||
보츠와나 | 292 | 5,900 | 611 | 11,000 |
레소토 | 481 | 11,000 | 425 | 8,300 |
말라위 | 114 | 18,000 | 324 | 36,000 |
모잠비크 | 347 | 83,000 | 279 | 51,000 |
나미비아 | 359 | 8,400 | 787 | 15,000 |
남아프리카 공화국 | 650 | 330,000 | 317 | 140,000 |
에스와티니 | 1,010 | 12,000 | 607 | 6,500 |
잠비아 | 285 | 38,000 | 493 | 50,000 |
짐바브웨 | 360 | 46,000 | 666 | 83,000 |
3. 2. 사회경제적 요인
아프리카에서 HIV/AIDS가 빠르게 확산된 데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그중에서도 빈곤은 아프리카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며, 매춘과 같은 행위를 유발하고 열악한 생활 환경, 낮은 교육 수준, 의료 서비스 접근성 부족 등을 초래하여 HIV/AIDS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19]빈곤과 HIV/AIDS빈곤은 생존을 위해 성을 팔아야 하는 상황(매춘)을 만들고, 이는 HIV 감염 위험을 높인다.[19] 또한, 열악한 생활 환경과 낮은 교육 수준은 HIV/AIDS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인식을 낮추고, 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떨어뜨려 감염 확산을 가속화한다.[19]
의료 시설 및 인력 부족아프리카의 많은 국가에서는 의료 시설이 부족하고, 의료 종사자 또한 부족한 상황이다.[54] 특히, 숙련된 의료 인력은 더 나은 근무 조건과 높은 급여를 찾아 해외로 유출되는 경우가 많아 의료 공백이 심화되고 있다.[55] 이는 HIV/AIDS 환자에 대한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어렵게 만들고, 감염 확산을 막는 데 걸림돌이 된다.
의료 불신아프리카에서는 현대 의학에 대한 불신이 높은 편이며, 이는 의료 서비스 이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56][57] 이러한 불신은 과거 서구 의료 종사자들에 의한 비윤리적인 의료 행위와 관련된 사건들[59], 그리고 제약 산업의 비윤리적인 인간 실험 및 불공정한 대우[60]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자연재해 및 분쟁자연재해와 분쟁은 경제적 어려움을 야기하여 많은 젊은 여성과 소녀들이 생계를 위해 매춘에 ஈடுப르게 만든다.[52] 이는 HIV 감염 위험을 높이는 또 다른 요인이 된다. 예를 들어, 모잠비크에서는 인도주의적 지원 노동자와 트럭 운전사 등의 유입으로 성매매 여성이 증가했고,[52] 케냐 북부 투르카나구에서는 가뭄으로 인해 성매매 여성들이 콘돔 사용 요구를 완화하고 새로운 고객을 찾아 나서는 현상이 나타났다.[52]
결론아프리카의 HIV/AIDS 확산은 빈곤, 의료 시설 및 인력 부족, 의료 불신, 자연재해 및 분쟁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빈곤 퇴치, 의료 시스템 강화, 의료 불신 해소, 재난 대응 능력 강화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3. 3. 행동적 요인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HIV/AIDS가 다른 지역보다 훨씬 더 널리 퍼진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고위험 행동 패턴이다.[46][47] 이 지역 사회는 전통적으로 복수의 성 파트너, 혼전 및 혼외 성관계에 대해 관대한 태도를 보인다.[46][47] HIV 감염은 감염 초기 몇 주 동안 가장 전염성이 높으며, 이 시기에 여러 성 파트너를 가지면 감염 위험이 증가한다.아프리카 외 선진국에서는 HIV 전염이 주로 매춘부와 같이 동시에 여러 성 파트너를 가질 가능성이 높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남녀 모두 여러 사람과 성관계를 맺는 것이 비교적 흔하여 HIV 전염을 촉진한다.[25] 이러한 관행은 동시적 성관계(concurrent sexual partnerships)로 알려져 있으며, 헬렌 엡스타인은 저서 ''보이지 않는 치료법: 아프리카, 서방, 에이즈와의 싸움''에서 우간다의 성 풍습 연구를 통해 남녀 모두 동시에 여러 성 파트너를 갖는 빈도가 높다는 것을 밝혀냈다.[48]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AIDS는 주요 사망 원인이며, 높은 전염률의 큰 이유는 청소년에게 제공되는 교육 부족이다. 감염된 어린이 대부분은 치료 부족으로 인해 1년 이내에 사망한다.[49]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모든 인구 집단(남성, 여성, 임산부, 어린이)이 HIV에 감염되었으며, 남성과 여성의 HIV 감염 비율은 매우 유사하다. HIV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의 77%가 AIDS로 사망하며, "AIDS 고아 및 어린이의 90% 이상이 HIV에 감염되었다."[50]
3. 4. 정치적 요인
아프리카에서 HIV/AIDS가 확산된 데에는 여러 정치적 요인이 작용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많은 정부는 수년 동안 문제의 심각성을 부인했지만, 현재는 해결책을 모색하기 시작했다.[24]
특히, 일부 아프리카 주요 정치 지도자들은 HIV와 AIDS의 연관성을 부인하고 다른 이론을 옹호했다.[66] 과학계는 HIV가 AIDS를 유발한다는 증거가 명확하다고 보고, AIDS 거부론자들의 주장을 유사 과학으로 간주한다.[67]
1980년대 후반, 국제 개발 기구들은 AIDS를 단순한 의료 문제가 아닌 경제 및 사회 전반에 걸친 문제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공중 보건 당국은 AIDS를 도시 지역의 매춘과 관련된 현상으로만 여겨, 농촌 지역 주민들은 안전할 것이라고 잘못 판단했다. 또한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가 주된 감염 경로임을 간과하고, 성 노동자와 트럭 운전사 등 특정 집단에만 예방 노력을 집중하여 이성애자 간의 확산을 막지 못했다.[23]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여러 국가에서 예방 캠페인이 10년 이상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초기 대응의 문제점은 HIV/AIDS 확산을 더욱 가속화시켰다. AIDS는 처음에는 남성 동성애자와 약물 중독자들의 질병으로 여겨졌지만, 아프리카에서는 일반 인구 사이에서 확산되었다. 이후 HIV와의 싸움에 참여한 사람들은 모자 간 전파 방지, HIV와 빈곤, 성 불평등 등의 관계를 강조하기 시작했지만, HIV 발병률의 급격한 증가를 막는 데는 효과적이지 않았다.[25]
4. 예방 노력
1980년대 후반, 국제 개발 기구들은 AIDS 관리를 단순한 의료 문제가 아닌 경제 및 사회 생활 전반에 걸친 문제로 인식해야 했다. 하지만 초기에는 AIDS를 매춘과 관련된 도시 현상으로만 보았고, 농촌 지역은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잘못 판단했다. 또한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가 주된 감염 경로임을 간과하고, 성 노동자와 트럭 운전사 등에게만 콘돔 사용을 권장하는 데 집중하여 예방 캠페인에 어려움을 겪었다.[23]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많은 정부들이 수년 동안 문제의 존재를 부인했지만, 현재는 해결책을 모색하기 시작했다.[24] HIV와 AIDS에 대한 세계적인 대응은 최근 몇 년 동안 상당히 개선되었다. 자금 지원은 글로벌 펀드(The Global Fund to Fight AIDS, Tuberculosis and Malaria), 대통령 에이즈 구호 계획(President's Emergency Plan for AIDS Relief) 등 다양한 출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26]
유엔 에이즈 계획(UNAIDS)에 따르면, 아프리카에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받는 HIV 양성 환자 수는 2005년에서 2012년 사이에 100만 명에서 710만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2012년에는 약 100만 명이 추가로 치료를 받았다.[27] 201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이러한 치료를 받은 HIV 양성 환자 수는 2009년보다 75.2% 더 많았다.[13]
2011년 아프리카 전체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AIDS 관련 사망자 수는 2005년보다 32% 감소했다.[27][13] 같은 해 아프리카의 HIV 신규 감염자 수도 2001년보다 33% 감소했으며,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어린이의 신규 감염은 24% 감소했다.[27]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같은 기간 동안 HIV 신규 확진 사례가 25% 감소했다.[13] UNAIDS는 이러한 성공이 "아프리카와 국제 사회의 강력한 리더십과 공동 책임"의 결과라고 평가했다.[28]
4. 1. 공중 보건 교육
아프리카에서 HIV 확산을 막기 위해 수많은 대중 교육 계획이 시작되었다.[29] 1980년대 후반, 국제 개발 기구들은 AIDS를 단순한 의료 문제가 아닌 경제 및 사회 생활 전반에 걸친 문제로 인식해야 했다. 하지만 초기에는 AIDS를 매춘과 관련된 도시 현상으로만 보았고, 농촌 지역은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잘못 판단했다. 또한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가 주된 감염 경로임을 간과하고, 성 노동자와 트럭 운전사 등에게만 콘돔 사용을 권장하는 데 집중하여 예방 캠페인에 어려움을 겪었다.[23]초기에는 AIDS가 남성 동성애자와 약물 중독자들의 질병으로 여겨졌으나, 아프리카에서는 일반 인구로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HIV 예방 노력은 모자간 전파 방지, HIV와 빈곤, 성 불평등 등의 문제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이러한 변화는 더 많은 자금 지원을 가져왔지만, HIV 발병률의 급격한 증가를 막는 데는 효과적이지 못했다.[25]
많은 활동가들은 HIV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낙인에 주목했다. 이러한 낙인은 질병에 대한 이해 부족, 치료 접근성 부족, 미디어의 영향, AIDS가 불치병이라는 인식, 문화적 신념에 따른 편견 등 여러 요인 때문에 발생했다.[30] 일부 아프리카 지도자들은 AIDS를 서구에서만 발견되는 동성애자 질병으로 치부하며 현실을 외면하기도 했다.[31] 그러나 동성애자만이 이 질병에 걸릴 수 있다는 믿음은 HIV 감염 상태인 이성 커플의 수가 증가하면서 잘못된 것으로 밝혀졌다.
카메룬의 장로들은 HIV/AIDS가 풀라니 여성으로부터 비 풀라니 남성에게만 전염되는 성병이며, 풀라니 치료사만이 치료할 수 있다는 소문을 퍼뜨리기도 했다.[32] 이러한 믿음은 HIV/AIDS가 여성에게서 유래되었다고 믿는 다른 아프리카 문화에서도 공유되었다. 남성은 여성으로부터만 HIV에 걸릴 수 있다는 믿음 때문에 많은 여성들은 폭력의 두려움 때문에 파트너에게 HIV 감염 사실을 알리지 못했다.[30]
사회적 낙인은 HIV/AIDS 감염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친다. HIV/AIDS에 대한 낙인이 찍힌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 사회에서는 HIV 양성 반응을 보이지 않더라도 예방 목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람들에게도 의심의 눈초리가 쏠린다. 이러한 사람들은 의료 서비스 이용을 피함으로써 낙인찍히는 것을 피하려고 한다.[19]
1999년, 헨리 J. 카이저 가족 재단과 빌 & 멜린다 게이츠 재단은 10대들을 위한 온라인 성 건강 및 관계 자료인 러브라이프 웹사이트에 주요 자금을 지원했다.[41]
2011년, 보츠와나 교육부는 지역 학교에 새로운 HIV/AIDS 교육 기술을 도입했다.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개발된 티치에이즈 예방 소프트웨어는 보츠와나의 모든 초·중·고등학교 및 대학교에 배포되어 6세부터 24세까지의 모든 학습자에게 HIV/AIDS 예방 교육을 제공했다.[42]
4. 2. 낙인(Stigma) 문제와 대응
아프리카에서 HIV 양성 반응을 보인 사람들에 대한 낙인은 여러 요인 때문에 발생한다. 질병에 대한 이해 부족, 치료 접근성 부족, 미디어의 부정적 묘사, 에이즈가 불치병이라는 인식, 그리고 문화적 신념에 따른 편견 등이 낙인을 유발한다.[30]일부 아프리카 지도자들은 HIV/AIDS를 서구에서만 발견되는 동성애자 질병으로 간주하며 현실을 외면하기도 했다.[31] 또한, 카메룬의 장로들과 같은 일부 지역 사회에서는 HIV/AIDS가 특정 집단에서만 전염되는 성병이라는 잘못된 믿음이 퍼지기도 했다.[32] 이러한 믿음은 HIV/AIDS가 여성에게서 유래되었다는 오해를 낳았고, 여성들이 폭력의 두려움 때문에 자신의 감염 사실을 밝히기 어렵게 만들었다.[30]
일반적으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HIV는 부정적인 낙인을 가지고 있으며, 감염 사실이 알려질 경우 친구와 가족으로부터 버려질 수 있다는 두려움을 유발한다. 많은 사람들이 HIV 감염자를 피하고, 심지어 같은 방에서 자거나 대화하는 것조차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30]
사회적 낙인은 HIV/AIDS 감염 상태뿐만 아니라 예방 목적의 의료 서비스 이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사람들은 HIV 양성으로 오인될까 두려워 의료 서비스 이용을 피하기도 한다.[19] HIV 감염인들은 '정상적인'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감염 사실을 숨기려고 하며, 이는 성적 자유, 차별, 가족 및 사회로부터의 거부, 직장 또는 거주지 상실 등을 피하기 위함이다.[19]
4. 3. 조합 예방 프로그램
조합 예방(Combination prevention) 프로그램은 특정 개인과 지역 사회의 HIV 예방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생물 의학, 행동, 구조적 개입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33] 이러한 프로그램은 권리에 기반하고 증거에 입각하며 지역 사회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33]금욕, 정절, 콘돔 사용(ABC) 전략은 HIV 예방의 중요한 지침이지만, 단독으로는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것이 HIV 과학계의 일반적인 견해이다.[34] 우간다는 연간 HIV 감염률 증가로 인해 ABC 전략을 조합 예방 프로그램으로 대체했는데, 대부분의 새로운 감염이 장기적인 관계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발생했기 때문이다.[35]
유엔 에이즈 계획(UNAIDS)은 조합 예방 프레임워크를 통해 인권 증진, 처벌 법률 철폐, 성 불평등 및 HIV 관련 낙인과 차별에 맞서는 프로그램을 HIV 예방 의제의 중심에 두고 있다.[33]
4. 4. 임산부-태아 간 전염 예방
유엔 에이즈 계획(UNAIDS)은 2012년에 보츠와나, 가봉, 감비아, 가나, 모리셔스, 모잠비크, 나미비아, 르완다, 상투메 프린시페, 세이셸, 시에라리온, 남아프리카 공화국, 에스와티니, 탄자니아, 잠비아, 짐바브웨를 포함한 16개 아프리카 국가에서 HIV에 감염된 임산부의 3/4 이상이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을 투여받아 자녀에게 전염되는 것을 막고 있다고 보고했다.[40]4. 5. 아프리카 연합(AU)의 노력
2001년 4월 아부자에서 열린 아프리카 연합 HIV/AIDS 정상회의에서 보츠와나, 에티오피아, 케냐, 말리, 나이지리아, 르완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우간다의 국가 원수와 정부 수반들은 AIDS Watch Africa(AWA) 옹호 플랫폼을 설립했다. 이 이니셔티브는 "HIV/AIDS 퇴치를 위한 약속을 이행하고 필요한 국내 및 국제 자원을 동원하기 위한 국가 원수 및 정부 수반의 노력을 가속화"하기 위해 결성되었다.[43] 2012년 1월, AWA는 아프리카 전체를 포함하도록 활성화되었고, 목표는 말라리아와 결핵을 포함하도록 확대되었다.[44]2012년, 아프리카 연합은 ''아프리카의 AIDS, 결핵 및 말라리아 대응을 위한 공동 책임과 세계 연대 로드맵''을 채택했다.[28] 이 로드맵은 2015년까지 아프리카에서 지속 가능한 AIDS 해결책을 달성하기 위해 공동 책임과 국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아프리카가 개발한 전략을 제시한다. 해결책은 다각화된 자금 조달, 의약품 접근성, 강화된 보건 거버넌스라는 세 가지 전략적 기둥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 로드맵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이러한 해결책의 실현에 대해 이해 관계자들의 책임을 묻기 위한 목표, 결과, 역할 및 책임을 정의한다.[45]
5. 지역별 현황
2020년 기준 전 세계 HIV 통계에 따르면, 동아프리카 및 남아프리카 지역의 HIV 양성인 수는 20,600,000명, 연간 AIDS 관련 질환 사망자 수는 310,000명, 연간 신규 HIV 감염자 수는 670,000명이다. 서아프리카 및 중앙아프리카 지역은 HIV 양성인 수 4,700,000명, 연간 AIDS 관련 질환 사망자 수 150,000명, 연간 신규 HIV 감염자 수 200,000명이다.
지역 구분 | HIV 양성인 | 한 해 동안 AIDS 관련 질환으로 사망한 인구 | 한 해 동안 신규 HIV 감염자 |
---|---|---|---|
동아프리카 및 남아프리카 | 20,600,000 | 310,000 | 670,000 |
서아프리카 및 중앙아프리카 | 4,700,000 | 150,000 | 200,000 |
2011년 자료를 보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성인 HIV 유병률은 4.9%이며, HIV 감염자 수는 23,500,000명, 연간 에이즈 사망자 수는 1,200,000명, 연간 신규 HIV 감염자 수는 1,800,000명이다.
지역 | 성인 HIV 유병률 (15~49세) | HIV 감염자 | 연간 에이즈 사망자 | 연간 신규 HIV 감염자 |
---|---|---|---|---|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 4.9% | 23,500,000 | 1,200,000 | 1,800,000 |
HIV는 아프리카 대륙에 질병과 사망뿐 아니라 보건, 가구, 학교, 직장, 경제 등 다방면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12] 특히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HIV 관련 질병을 앓는 사람들이 전체 병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의료 전문가들도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12] 보츠와나는 1999년에서 2005년 사이에 에이즈로 인해 의료 인력의 17%를 잃었다.[12]
HIV와 AIDS는 가구에도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데, 빈곤층이 가장 취약하다.[12] 에이즈는 가족의 자산과 소득원을 빼앗아 가난을 심화시키고, 농업 생산량 감소로 식량 불안정을 초래한다.[12] 여성과 노인은 간병, 소득 활동, 가사, 양육 등에서 더 큰 부담을 안게 된다.[12] 아동은 에이즈로 인해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되거나, 가족을 부양해야 하는 등 어려움을 겪는다.[12]
HIV와 AIDS는 아프리카 국가의 교사 부족 현상을 심화시킨다.[12] 탄자니아에서는 2006년에 HIV로 사망하거나 직장을 떠난 교사를 대체하기 위해 약 45,000명의 추가 교사가 필요한 것으로 추정되었다.[12] 에이즈는 기업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비용을 증가시키며, 가구 소득 감소로 인해 제품 및 서비스 수요가 감소할 수 있다.[12]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많은 국가에서 에이즈는 기대 수명을 단축시키고 있으며, 20~49세 성인의 사망률이 가장 높다.[12]
유엔 에이즈 계획(UNAIDS)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아프리카에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받는 HIV 양성 환자 수는 100만 명에서 710만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27] 2011년 아프리카 전체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AIDS 관련 사망자 수는 2005년보다 32% 감소했고,[27][13] 2011년 아프리카의 HIV 신규 감염자 수도 2001년보다 33% 감소했다.[27]
5. 1. 북아프리카
북아프리카 지역은 다른 아프리카 지역에 비해 HIV 유병률이 낮은 편이다. 2021년 기준, 성인(15~49세) 감염률은 대부분 0.1% 미만이다.[77]국가 | 성인 감염률 (15–49세, 2021) | HIV 감염인 수 (2021)[77] | 에이즈 사망자 수 (2021)[77] | 신규 HIV 감염자 수 (2021)[13] |
---|---|---|---|---|
알제리 | 0.1% 미만[77] | 21,000 | 500 미만 | 2000 |
이집트 | 0.1% 미만[77] | 30,000 | 1000 미만 | 정보 없음 |
리비아 | 0.2%[77] | 8,300 | 200 미만 | 500 미만 |
모로코 | 0.1% 미만[77] | 23,000 | 500 미만 | 1000 미만 |
수단 | 0.1%[13] | 41,000 | 1,900 | 3,100 |
튀니지 | 0.1% 미만[77] | 5,400 | 500 미만 | 500 미만 |
5. 2. 아프리카의 뿔
아프리카의 뿔 지역의 HIV 감염률은 다른 아프리카 지역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이다. 이는 이 지역 사회의 이슬람교적 특성과 성(性)에 관한 이슬람 규범 준수와 관련이 깊다.[47]에티오피아의 HIV 유병률은 2001년 3.6%에서 2011년 1.4%로 감소했다.[13] 연간 신규 감염자 수도 2001년 13만 명에서 2011년 2만 4천 명으로 감소했다.[13]
국가 | 성인 유병률 (15–49세, 2011)[77] | 성인 유병률 (15–49세, 2001)[13] | HIV 감염자 수 (2011)[77] | HIV 감염자 수 (2001)[13] | 에이즈 사망자 수 (2011)[77] | 에이즈 사망자 수 (2001)[13] | 신규 HIV 감염자 수 (2011)[13] | 신규 HIV 감염자 수 (2001)[13] |
---|---|---|---|---|---|---|---|---|
지부티 | 1.4% | 2.7% | 9200 | 12000 | 1000 미만 | 1000 | 1000 미만 | 1300 |
에리트레아 | 0.6% | 1.1% | 23000 | 23000 | 1400 | 1500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에티오피아 | 1.4% | 3.6% | 790000 | 1300000 | 54000 | 100000 | 24000 | 130000 |
소말리아 | 0.7% | 0.8% | 35000 | 34000 | 3100 | 2800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5. 3. 중앙아프리카
(15–49세, 2011년)(15–49세, 2001년)
(2011년)
(2001년)
(2011년)
(2001년)
(2011년)
(2001년)